'문화적 상상력과 미래 교육의 비전'
열띤 나눔의 장(場)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국제 에듀컬처 준비 워크숍
A preliminary workshop On EduCulture Global Cooperation
나라마다 차이는 있지만 어린이가 미래의 핵심이라는 것은 다르지 않습니다.
막연한 미래는 어린이의 성장을 통해 분명해집니다. 저마다 지닌 꿈과 호기심은 배움을 향한 동기와 열정이 되고, 배움의 과정을 통해 쌓인 지식은 나라와 세계의 힘이 됩니다.
어린이에게 지식은 발걸음처럼 가볍고 생기있어야 합니다. 지식이 모여 삶을 바라보는 지혜가 되고, 지혜가 모여 어린이의 자발적인 창의성을 문화적 토양 위에 심을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경계를 허물고 영역을 뛰어넘어 더욱 풍부한 지혜와 방법을 모을 때입니다.
국제 에듀컬처 준비 워크샵은 배움의 미래를 향한 지혜를 모으는 첫걸음이자, 에듀컬처의 지향점을 국제적으로 공동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행사개요구 분 | 내 용 |
행사명 | 국제 에듀컬쳐 준비 워크샵
(a preliminary workshop on EduCulture Global Coorperation) |
일 시 | 2007년 4월 17일(화) , 18일(수), 19일(목) |
장 소 | 김대중 컨벤션 센터 회의실 (201호+202호+203호) |
대 상 | | 교육에 관한 다양한 실천 영역의 국내외 전문가 |
해외 참석자 | 해외 전문가 4명 (홍콩1,일본1,미국1,프랑스1) |
국내 참석자 | 국내 전문가 8명, 사회자 3명 |
주 최 | 문화관광부 문화중심도시조성추진기획단 |
주 관 | (사)글로벌유스리더십, 에듀컬처사업단 |
프로그램 구성사전 토의 | 16 April 2007 (afternoon) |
본 행사 | 17-18 April 2007 (whole day) |
부대 행사 | 19 April 2007 (whole day) |
사전 토의 | 국내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진행, 워크샵 목적 및 미션 공유, 전략 수립 |
본 행사 | 17일 18일 2일 동안 진행되는 국제 에듀컬처 준비 워크샵으로 에듀컬처 사업 관계자의 기조발제, 국내외 참석자들의 발제 및 청중과 함께 이루어지는 오픈 토론으로 구성됨 |
1세션
(17일) | 아시아 교육에 대한 경계와 비판을 넘어선 창의적인 배움에 대한 참석자들의 다차원적인 시각들을 풀어냄. |
2세션
(18일) | 어린이 지식문화센터 에듀컬처 전시물 및 프로그램을 통하여 공공적 학습의 허브로 자리하기 위한 적극적인 모색의 장으로 미국과 유럽의 교육 전시 콘텐츠 개발 사례를 엿보며, 한국적 상황에서의 교육 전시 콘텐츠 개발에 관한 현안과 방향성을 모색함. |
종합토론
(18일) | 국내외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며, 에듀컬처에 대한 각계의 다양한 시각과 의견을 담아내는 시간으로, 본 워크샵의 가장 핵심 파트임. |
4월 17일
제 1 주제 : 창의적 교육 배움의 미래10:30-10:50 | 등록 및 입장 |
10:50-11:10 | 에듀컬처 홍보 영상 상영 '우주를 품은 씨앗, 에듀컬처' |
Session 1 "창의적 교육, 배움의 미래" |
11:10-11:20 | 사회 : 김찬호 /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Session 1을 열며" |
11:20-12:00 | 기조발제 : 전효관 /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에듀컬처 사업단 프로젝트 매니저
"에듀컬처 사업과 지식문화센터 구상" |
12:00-13:30 | 점심시간 |
13:30-14:10 | 발제1 : Masaaki Sato / 전 가쿠요 중학교 교장
"배움의 공동체로서의 학교, 일본 후지시 가쿠요 중학교 사례" |
14:10-14:50 | 발제2 : Steven Pang / Hong Kong Institute of Contemporary Culture
Hong Kong School of Creativity
"문화기관에 대한 연구 : ngo-npo zuni 사례를 중심으로" |
14:50-15:30 | 발제3 : 양희규 / 금산 간디학교 교장
"교육패러다임의 전환과 대안교육" |
15:30-16:00 | 차 한잔의 여유 |
토론 국내외 발표자 , 토론자와 청중 토론 |
16:00-17:30 | 사회 : 김찬호 /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
| 토론 : Masaaki Sato / 전 가쿠요 중학교 교장
Steven Pang / Hong Kong Institute of Contemporary Culture
Hong Kong School of Creativity
양희규 / 금산 간디학교 교장
김보성 / 경기문화재단 문화교육 팀장 |
첫째 날을 닫으며 |
4월 18일
제 2 주제 : 예술적 상상, 숨쉬는 지식의 공간Session 2 "예술적 상상, 숨 쉬는 지식 공간" |
10:00-10:30 | 등록 및 입장 / 에듀컬처 홍보 영상물 상영 '우주를 품은 씨앗, 에듀컬처' |
10:30-10:40 | 사회 : 장인경 / 철박물관 관장 |
10:40-11:20 | 기조발제 : 최인기 /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추진기획단 문화전당운영팀장
"아시아문화중심도시의 비전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11:20-12:00 | 발제1 : Bill Booth / 박물관 컨설턴트, Booth Learning
"미래의 어린이 박물관의 전망" & "미국적 상황에서의 교육용 전시, 공간, 프로그램, 예술작업 등 개발 사례"(가제) |
12:00-13:30 | 점심시간 |
13:30-14:10 | 발제2 : Dorothee VATINEL / Cite des sciences et de l'industrie 전시 기획자
"파리 과학과 산업 박물관에서의 어린이를 위한 전시 기획 및 개발" |
토 론 / 국내외 발표자, 토론자와 청중 토론 |
14:20-14:30 | 사회 : 장인경 / 철박물관 관장 |
14:30-15:30 | 토론 : Bill Booth / Booth Learning 대표, 박물관 컨설턴트
Dorothee VATINEL / Cite des sciences et de l'industrie 전시 기획자
박찬국 / 밀머리 미술학교 대표
황덕신 / 에듀컬처 사업단 전략기획팀장 |
15:30-16:00 | 차 한잔의 여유 |
종합토론 : 배움의 미래를 향해 함께 나누는 이야기종합토론 / 국내외 발표자, 토론자와 청중 토론 |
16:00-16:10 | 사회 : 정유성 /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종합토론의 장을 열며 ? 참석자 소개" |
16:10-18:00 | 토론 : Masaaki Sato / 전 가쿠요 중학교 교장
Steven Pang / Hong Kong Institute of Contemporary Culture
Hong Kong School of Creativity
Bill Booth / 박물관 컨설턴트, Bill Booth
Dorothee VATINEL / Cite des sciences et de l'industrie 전시 기획자
김보성 / 경기문화재단 문화교육팀장
박찬국 / 밀머리 미술학교 대표
양영란 / 에듀컬처 창작워크샵 총괄 코디네이터
양희규 / 금산 간디학교 교장
정희섭 / 한국 문화정책 연구소 소장
최인기 /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추진기획단 문화전당운영팀장
황덕신 / 에듀컬처 사업단 전략기획팀장 |
둘째 날을 닫으며 |
문 의 : 에듀컬처사업단 국제팀062-222-6753 /
www.educulture.org / eduworkshop@naver.com
찾아오시는 길 :
○ 지하철 : 광주 지하철 1호선 상무역 3번 출구 세정아울렛 방면 도보 10분
○ 버 스 : 일곡 38번, 상무 64번, 518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