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이 빛나는 기회도시 광주 - 광주문화재단

SNS

문화예술소식

  • 인쇄
  • 폰트크기
  • 폰트크기 증가
  • 폰트크기 감소
  • 폰트크기 되돌리기

제목[인문학교육연구소] 활동가를 위한 인문학_ 동양편, 시즌1

작성일2017-02-25

작성자 s * * * * * * * 5

조회 404

 

[활동가를 위한 인문학_동양편, 시즌1]


  삶에 대한 진정한 통찰은 부분적으로는 인생의 모호함에 대한 많은 철학자들의 대답 속에 들어있겠지만, 그 나머지는 그들이 제기했던 그 질문 속에도 담겨있다. 진정한 철학사의 의의는 아마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 우리가 과거에 얼마나 현명했는가가 아니라 우리가 얼마나 모자랐는가? 이 잘못에 대한 집적된 아카이브로서 기능하는 바로 그 지점에서 철학사의 가치는 빛을 발한다.

  동양철학의 태동기와 관련된 몇 가지 질문들의 유형 및 대답들의 의미를 되물어 보자. 철학은 진리의 추구인가? 의미의 창출인가? 인간적인 삶을 규정하는 마지막 어휘를 찾으려는 시도는 성공할 수 있을까? 우리의 삶의 가치는 나와 함께하면서 경쟁하는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찾아져야 하는가? 아니면 한계 너머로 ‘초월’의 방향으로 삶은 더욱 더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는가? 공자와 맹자, 노자와 장자가 제안했던 삶의 방향성 속에서 우리는 현대의 삶을 위한 어떤 권고들을 발견할 수 있는가?


ㅡ강사소개:  이향준

전남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철학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전남대학교 철학과 BK21플러스 연구교수다. 저서로 <조선의 유학자들 켄타우로스를 상상하며 리와 기를 논하다>가 있다. 역서로 <주자대전>(공역)이 있다.


1강.(3/6/월) 진리인가? 서사인가?

2강.(3/13/월) 공자(孔子)와 그의 시대

3강.(3/20/월) 첫 번째 유가 철학자: 맹자(孟子)의 경우

4강.(3/27/월) 도(道)의 탄생! - 노자의 경우

5강.(4/3/월) 붕(鵬)의 눈으로 뒤 돌아 보라!: 장자(莊子)와 그의 철학

6강.(4/10/월) ‘따듯함’ 혹은, 인간의 징검다리에 대하여


일정: 2017년 3월 6일 월요일부터 저녁 7시 반(2시간)

장소: 무등공부방 (광주 서구 상무대로 1156, 2층)

참가비: 후원회원 3만원/ 비회원 6만원 후원회원 가입안내

문의 및 접수: 070-8862-6063, 홈페이지 수강신청(www.paideia.re.kr)

입금계좌: 광주은행 121-107-005174 (예금주: 인문학교육연구소)


인문학교육연구소의 다양한 강좌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

www.paideia.re.kr

댓글입력(500Byte 제한) (0/500)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주세요.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