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홈
회원가입
로그인
사이트맵
ENGLISH
中文
통합검색
예술지원
예술지원사업
부문별 지원사업
공연장상주단체육성지원
지역문화예술특성화지원
생활문화예술활동단체 및 동아리 지원
청년문화일자리사업
광주형 장애인문화예술지원사업
창작지원컨설팅 신청
지원사업자료실
주요사업
예술복지
예술인복지지원
예술인파견지원사업-광주예술로
광주다움문화메세나운동
예술교육
광주문화예술교육 허브로 재포지셔닝 : 가치의 회복·성과의 확산
시민문화
광주프린지페스티벌
통합문화이용권사업
청춘문화누리터
문화소통
광주문화기관협의회
한국광역문화재단협의회
전통문화
토요상설공연
전통문화예술강좌
전통문화예술체험 '풍류노리'
무등울림
무등풍류뎐
무형문화재 기록화사업
특별기획 프로그램
문화공간
빛고을시민문화관
빛고을아트스페이스
전통문화관
문화예술작은도서관
문화보둠10000센터
문화기부
온라인 문화보둠10000센터
문화보둠10000운동
보둠박씨 캐릭터
기부금 사용내역
열린광장
부탁해요 문화재단
공지사항
입찰공고
채용공고
언론보도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
사전정보공표
경영공시
이사회관련
주요업무계획
인력현황
기부금내역
재무현황
수의계약내역
업무추진비 집행내역
경영평가 결과
감사결과
행정일반
광주문화재단 규정
계약
발주계획
계약정보
대금지급현황
아카이브 열람신청
재단소개
인사말
이사장 인사말
대표이사 인사말
재단소개 및 연혁
비전&경영전략
부서 안내
광주문화재단 CI
대관 신청
오시는 길
문화예술정보
문화예술소식
이달의 문화마실
전국곳곳 문화행사
GCF 문화행사
디어마이광주 문화행사
예술날개 페스티벌
문화일자리
문화기관 정보
광주문화공간
갤러리 및 박물관
문화예술관련단체
문화예술체험·교육 단체 및 기관
문화톡
열린경영
ESG경영
ESG경영 선언문
ESG경영 추진체계
ESG경영 활동
인권경영
인권경영선언문
인권경영활동
윤리경영
윤리헌장
윤리경영활동
고객만족경영
클린신고센터
로그인
회원가입
예술지원
예술지원
예술지원사업
부문별 지원사업
창작지원컨설팅 신청
지원사업자료실
주요사업
주요사업
예술복지
예술교육
시민문화
문화소통
전통문화
문화공간
문화공간
빛고을시민문화관
빛고을아트스페이스
전통문화관
문화예술작은도서관
문화보둠10000센터
문화기부
문화기부
온라인
문화보둠 10000센터
열린광장
열린광장
부탁해요 문화재단
공지사항
입찰공고
채용공고
언론보도
정보공개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
사전정보공표
경영공시
광주문화재단 규정
계약
아카이브 열람신청
재단소개
재단소개
인사말
재단소개 및 연혁
비전&경영전략
부서 안내
광주문화재단 CI
대관 신청
오시는 길
문화예술정보
문화예술정보
문화예술소식
문화일자리
문화기관 정보
문화톡
열린경영
열린경영
ESG경영
인권경영
윤리경영
고객만족경영
클린신고센터
한눈에 보기
예술지원
예술지원
예술지원사업
부문별 지원사업
부문별 지원사업
공연장상주단체육성지원
지역문화예술특성화지원
생활문화예술활동단체 및 동아리 지원
청년문화일자리사업
광주형 장애인문화예술지원사업
창작지원컨설팅 신청
지원사업자료실
주요사업
주요사업
예술복지
예술복지
예술인복지지원
예술인파견지원사업-광주예술로
광주다움문화메세나운동
예술교육
예술교육
광주문화예술교육 허브로 재포지셔닝 : 가치의 회복·성과의 확산
시민문화
시민문화
광주프린지페스티벌
통합문화이용권사업
청춘문화누리터
문화소통
문화소통
광주문화기관협의회
한국광역문화재단협의회
전통문화
전통문화
토요상설공연
전통문화예술강좌
전통문화예술체험 '풍류노리'
무등울림
무등풍류뎐
무형문화재 기록화사업
특별기획 프로그램
문화공간
문화공간
빛고을시민문화관
빛고을아트스페이스
전통문화관
문화예술작은도서관
문화보둠10000센터
문화기부
문화기부
온라인 문화보둠10000센터
온라인 문화보둠10000센터
문화보둠10000운동
보둠박씨 캐릭터
기부금 사용내역
열린광장
열린광장
부탁해요 문화재단
공지사항
입찰공고
채용공고
언론보도
정보공개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
사전정보공표
경영공시
경영공시
이사회관련
주요업무계획
인력현황
기부금내역
재무현황
수의계약내역
업무추진비 집행내역
경영평가 결과
감사결과
행정일반
광주문화재단 규정
계약
계약
발주계획
계약정보
대금지급현황
아카이브 열람신청
재단소개
재단소개
인사말
인사말
이사장 인사말
대표이사 인사말
재단소개 및 연혁
비전&경영전략
부서 안내
광주문화재단 CI
대관 신청
오시는 길
문화예술정보
문화예술정보
문화예술소식
문화예술소식
이달의 문화마실
전국곳곳 문화행사
GCF 문화행사
디어마이광주 문화행사
예술날개 페스티벌
문화일자리
문화기관 정보
문화기관 정보
광주문화공간
갤러리 및 박물관
문화예술관련단체
문화예술체험·교육 단체 및 기관
문화톡
열린경영
열린경영
ESG경영
ESG경영
ESG경영 선언문
ESG경영 추진체계
ESG경영 활동
인권경영
인권경영
인권경영선언문
인권경영활동
윤리경영
윤리경영
윤리헌장
윤리경영활동
고객만족경영
클린신고센터
HOME
열린광장
언론보도
SNS
열린광장
News& Engagement
부탁해요 문화재단
공지사항
입찰공고
채용공고
언론보도
언론보도
제목
'애꾸눈 광대', 이지현을 아시나요? _ 이 연 대표이사 직무대행
작성일
2014-08-01
작성자
관 * 자
조회
1312
<div>
</div> <div>
'애꾸눈 광대', 이지현을 아시나요?
</div> <div> </div> <div>
이 연 _ 대표이사 직무대행
</div> <div> </div> <div>
그 후 34년이 흘렀다. 세월의 켜 속에서 무디어지고 잊혀지기도 했다. 그러나 누군가의 기억 속엔 아직도 또렷하다. 그의 기억 속에 남아있는 고통과 슬픔은 모진 세월 속에서도 하나도 덜어지지 않고 오히려 무거워져만 간다. 다름아닌 광주 5·18, 그 기억의 타래를 붙들고 오늘을 똑바로 살자고 외치는 이가 있다. 5·18의 진상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데다 그에 대한 심판이 제대로 되질 않아 세월호 침몰, 헬기 추락사건이 반복되고 있다고 아쉬워한다. 자전적 1인극 ‘외꾸눈 광대’를 광주문화재단 주관아래 5·18상설공연으로 무대에 올리고 있는 이지현씨가 바로 그이다.
</div> <div>
</div> <div>
</div> <div>
그는 사실, 연극인이 아니다. 단지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온몸으로 관통했던 시민의 한 사람이었고 이후 고통의 세월을 보낸 상처받은 이었다. 그 상처를 떨쳐내고 희망찬 광주의 미래를 도모하기 위해 그는 무대 울렁증을 고스란히 감당한 채 무대에 올라섰다. 그리고 슬픔을 슬픔으로만, 아픔을 아픔으로만 표현하지 않고 웃음과 통렬한 풍자, 익살로 버무려 내고 있다. 되도록 관람객의 시선을 붙잡기 위해 마술도 집어넣고 춤과 노래도 불사한다. 그러나 그 웃음 속에 아픔이 깊이 자리하고 있음을 연극을 보는 이들은 단박에 눈치채고 만다. 그래서 울컥 하는 가슴을 부여안고 눈물을 찍어내곤 하는지 모른다.
</div> <div>
</div> <div>
5·18광주민주화운동은 대한민국 민주화 역사의 한 획을 그은 역사적 사건이다. 광주시민들에겐 특별하다. 단지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아직도 팔딱거리는 현재의 상처이다. 그 상처받은 영혼들이 34년이 지나면서 일부러 잊고자 노력하기도 했고 외면해온 사실을 과감히 걷어냈다. 세월의 힘 앞에서 무디어진 기억을 고스란히 드러낸 무대가 바로 이지현씨의 ‘애꾸눈 광대’다.
</div> <div>
</div> <div>
이 무대는 오는 10월 초순까지 둘째, 넷째 주 수요일 오후 7시30분 광주문화재단 빛고을아트스페이스 소공연장에서 진행된다. 이번 달까지 모두 여섯 차례의 공연을 마치고 앞으로 네 번의 공연이 남아있다. 그 와중에 창원 청주 제주 해남 등지로 순회공연을 다녀왔고 11월쯤 대구공연을 계획하고 있다. 광주 5월의 이야기를 전국에 알리고 싶어 백방으로 노력한 결과 얻어낸 성과다. 아직도 누군가는 5·18 시민군을 폭도로 알고 있으며 그 아픔이 현재진행형이 아닌 과거사로 치부되고 있는 현실을 그는 견디질 못한다. 그래서 무대에서마다 그는 혼신의 힘을 다해 열정과 에너지를 쏟아 붓는다.
</div> <div>
</div> <div></div>
<div>
공연을 관람하는 내내 필자는 가슴이 울컥했다. 잠시 잊고 지냈던 사실을 일깨우는 고통의 알림이었다. 누군가의 가슴 속에서는 아직도 벌겋게 달아오른 상처이고 팔딱거리는 호흡 속에 살아있는데 삶 속에 묻혀지고 있다는 사실에 눈시울이 붉어졌다. 잊어선 안 될 사실을 환기시키느라 마술을 배우고 춤과 노래로 ‘광대짓’을 하며 5월을 토해내는 이지현씨에게 한없는 존경의 마음을 바친다. 그의 광대노릇은 그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광주의 역사이며 우리가 엮어갈 미래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이지현씨의 ‘애꾸눈 광대’를 관람하는 것은 한편의 연극을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광주를 올바로 아는 길이다.
</div> <div>
</div> <div>
<2014년 8월 1일자 광주매일 문화난장 >
</div> <div>
</div>
다음글
[광주매일]양림동에 새명소 다원형 레지던시 문열다
이전글
미디어아트 플랫폼 건립하자 _ 김영순 시민문화팀장
답글
목록
댓글입력(500Byte 제한)
(
0
/500)
댓글달기
더보기
X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주세요.
확인
문화기부
문화예술
소식
정책자료
TOP